전체 글34 빅토리아 시대 예절 : 부채로 말하기, 명함 남기기, 길 건너기 1. 길 건너는 예절 교양있는 여성은 길을 건널 때 오른손으로 가운의 주름을 모아 잡고 오른쪽으로 들어올려 드레스를 조금 들어올립니다. ‘품위있는 숙녀를 위한 가이드The Lady’s Guide to Perfect Gentility’는 발목을 너무 많이 보이지 않기 위해 두 손을 사용하는 것을 지양하라고 조언합니다. 그러나 진흙을 피하기 위해 두 손을 써야 할 때는 괜찮습니다. 2. 아이스크림을 마셔버리지 마세요 옛날이나 지금이나 어떤 음식을 먹는 식사 예절을 숙지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은식기류가 있다면 그것은 식사하는 사람들이 천천히 먹으며 함께있는 시간을 즐기도록 고안된 것입니다. 예를 들어 주최자가 아이스크림을 스포크(끝이 갈라진 포크 겸용 스푼)와 주는 것은 흔했는데, 아이스크림 녹기 전에만 품위.. 2020. 12. 31. 국제사법재판소 재판부는 어떻게 채용될까? 원문 출처 : www.icj-cij.org/en/members 고1의 하찮은 영어 실력이므로 원문을 확인합시당 Members of the Court |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Members of the Court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s composed of 15 judges elected to nine-year terms of office by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and the Security Council. These organs vote simultaneously but separately. In order to be elected, www.icj-cij.org 국제사법재판소는 유.. 2020. 12. 30. 함수의 역사 : 프톨레마이오스부터 푸리에와 코시까지 수학에서 함수라는 용어가 사용된 것은 17세기였습니다. 17세기 이전에도 그리스의 프톨레마이오스가 만든 삼각 함수적인 표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함수의 발달에 필요한 변화와, 두 양 사이의 상관적인 관계에 대해서 다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르네상스 이후에 폴란드의 코페르티쿠스, 독일의 케플러, 이탈리아의 갈릴레이 등은 변화나 무한은 물론 상관 관계에 대해서 파악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은 수학의 상관 관계를 논리적으로 다루기보다 관찰이나 실험을 주로 다루었습니다. 독일의 라이프니츠라는 수학자는 함수의 개념을 처음으로 확립하였습니다. 그는 함수를 변수 x 값의 변화에 따라 다른 변수 y가 정해지는 것으로 정의하였습니다. 그 후 함수는 방정식에 의해서 표현되는 사실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그.. 2020. 12. 30. 탄소 배출권 거래제 : 의미, 기대효과, 우리나라는? 중2 과학시간에 발표했던 PPT입니다. 템플릿 출처 : blog.naver.com/serenity087/221186525457 2020. 12. 30.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