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영,경제5

경제위기 속 기업, 가계, 정부의 과제 정부는 코로나19 위기에 대응하여 재정 확대를 통해 내수경기 재생을 위한 경제정책 시행 계획을 밝혔다. ‘소비 리바운드를 위한 세제 등 인센티브 제공’의 일환으로 ’21년중 신용카드 등 사용액이 전년대비 일정수준 이상 증가하는 경우 해당 증가분에 대해 별도의 추가 소득공제 신설, 승용차 개소세 30% 인하 및 고효율 가전 구매금액 환급 등 소비 진작효과가 입증된 정책 지속 추진하고 있다. 지역사랑·온누리상품권 확대, ’21년공무원연가보상비 일부를 온누리상품권으로 선지금, 대한민국 동행세일, 코리아 세일 페스타 등도 추진 중이다. 확장 정책은 시중 통화량을 늘려 개인의 소비를 촉진하고, 기업 생산에 활력을 촉진한다. 다만 예측하지 못했던 영향도 나타나고 있다. 예를 들어 주택시장은 실물경제와 달리 공급의 .. 2021. 6. 5.
유엔 지속가능목표 보고서 읽기/코로나가 노동, 경제에 미친 영향 2020 유엔 지속가능목표 보고서 중 흥미롭게 읽은 SDG8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 성장 부분입니다. 아래는 원문 pdf 파일 링크로 아래 내용은 보고서 40-41페이지에 해당합니다. 고1의 하찮은 영어 실력이므로 원문을 확인합시당 unstats.un.org/sdgs/report/2020/The-Sustainable-Development-Goals-Report-2020.pdf 2000년부터 시작된 노동 생산성의 꾸준한 상승이 코로나 바이러스로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 노동 생산성의 척도인 전 세계 평균 근로자 1인당 생산량은 2009년 경제침체 기간에 잠시 중단되었을 뿐 2000년부터 꾸준히 증가했다. 노동 생산성 성장률은 2018년 1.6%, 2019년 1.4%에 달했다. 그러나 이 수준은 지역에 따라 상.. 2020. 12. 29.
코즈마케팅 실패사례&성공조건/빙, 켈로그, 도미노 등 나는 사익을 추구하는 동시에 공익에 기여하는 경영인이 되고 싶다. 기업이 공익과 사익을 동시에 추구하는데 어떤 방법이 있을까?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논문을 읽으며 탐구한 윤리경영의 일환으로서 기업의 이미지를 제고하는 것이 목적이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같이 사회 문제에 관심을 가지지만, 기업의 매출 증대를 목적으로 하는 마케팅 기법이 코즈 마케팅(Cause Marketing)이다. 코즈(Cause, 대의명분) 마케팅은 기업이 사회적 이슈를 기업의 이익 추구를 위해 활용하는 마케팅 기법이다. 최초의 코즈마케팅인 아메리칸 익스프레스의 자유의 여신상 복원 프로젝트, 아프리카 아이들에게 깨끗한 물을 제공하는 CJ 제일제당 미네워터 바코드롭 등 많은 기업이 코즈 마케팅을 이용해 매출 증대와 이미지 제.. 2020. 12. 28.
가치를 공유하는 직원 공동체 형성의 사례와 방법 조사 중 교보생명의 윤리경영의 원동력 중 하나는 다양한 윤리경영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임직원들이 경영윤리의 가치를 인식하고 준수하도록 했기 때문임을 알게 되었다. 이렇듯 경영에서 가치를 공유하는 직원 공동체 형성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독서를 통해 그 사례와 방법을 알고자 했다. 윤리경영의 대표적 사례 중 하나인 파타고니아의 경영 철학을 담은 을 읽었다. 파타고니아가 비즈니스, 환경 윤리, 가치관으로 묶인 직원 공동체를 형성하여 재정 위기를 극복했다는 것이 인상깊었다. 그렇다면 가치를 공유하는 직원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파타고니아는 운영 매뉴얼을 넘어 경영 철학을 글로 정리하고, 수업을 통해 문화적 경험을 공유했다. 스탠퍼드 경영대학원의 명강의를 다룬 에 나온 다비타와 제트블루 .. 2020.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