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중 교보생명의 윤리경영의 원동력 중 하나는 다양한 윤리경영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임직원들이 경영윤리의 가치를 인식하고 준수하도록 했기 때문임을 알게 되었다. 이렇듯 경영에서 가치를 공유하는 직원 공동체 형성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독서를 통해 그 사례와 방법을 알고자 했다.
윤리경영의 대표적 사례 중 하나인 파타고니아의 경영 철학을 담은 <파타고니아-파도가 칠 때는 서핑을(이본 쉬나드)>을 읽었다. 파타고니아가 비즈니스, 환경 윤리, 가치관으로 묶인 직원 공동체를 형성하여 재정 위기를 극복했다는 것이 인상깊었다.
그렇다면 가치를 공유하는 직원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 파타고니아는 운영 매뉴얼을 넘어 경영 철학을 글로 정리하고, 수업을 통해 문화적 경험을 공유했다. 스탠퍼드 경영대학원의 명강의를 다룬 <인간을 탐구하는 수업(사토 지에)>에 나온 다비타와 제트블루 항공도 모범사례다.
성공한 기업은 직원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기업의 경영 철학을 정의하고, 공유했으며, 이는 공유하는 가치가 되었다. 나는 특히 보수적 문화의 한국 기업에서 직원이 가치를 공유하기 위해 수평적 조직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조직 구성원의 소통과 참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요즘은 팬데믹으로 근무 방식도 비대면으로 바뀌고 있다. 원격 근무 상황에서 가치를 공유하는 직원 공동체와 유대를 형성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이 질문의 답을 찾는 과정에서 원격 근무 상황에서의 조직 관리와 관리자의 역할에 관한 신문기사를 읽고, 인터넷으로 기사를 소개하고 번역하여 공유하였다. 원격 근무 상황에서 서로를 신뢰할 수 있는지는 소통을 통해 공유된 가치를 내면화시키는 데에 달려있다고 생각했고, 경영인이라면 가치를 공유하는 직원 공동체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경영,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위기 속 기업, 가계, 정부의 과제 (0) | 2021.06.05 |
---|---|
유엔 지속가능목표 보고서 읽기/코로나가 노동, 경제에 미친 영향 (0) | 2020.12.29 |
코즈마케팅 실패사례&성공조건/빙, 켈로그, 도미노 등 (0) | 2020.12.28 |
틱톡을 만든 바이트댄스 제대로 알아보자/기업현황, 경쟁력, 운영방식, 경쟁기업, 전망, 관련 기사 (0) | 2020.12.28 |
댓글